시각장애 발달 중 `인지발달` 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4:01
본문
Download : 시각장애 발달 중 `인지발달` 정리.hwp
맹아동의 1. 인지행동, 2. 자기 인지, 3. 환경 인지, 4. 인지발달의 진단 문제 에 대한 목차순으로 정리 , 시각장애 발달 중 `인지발달` 정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시각장애 발달 중 `인지발달` 정리.hwp( 48 )
시각장애 발달 단원의 첫번째 `인지발달`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된 자료(資料)입니다. 이렇게 수동적인 reaction response단계에서 출발하여 점점 적극적인 탐색활동을 발휘해 간다.
1. 인지행동
1) 인지행동의 발휘
(1) 자극과 reaction response
어떤 reaction response이 의식적이며 자발적인 것인가에 대한 판단은 대단히 하기 어려운데, 신생아에게는 태어나면서 바로 자극에 대한 reaction response이 일어난다. 생후 4주 유아는 사물을 응시할 수가 있고, 걸음을 걸으면 그쪽으로 얼굴을 향할 수도 있따 소리가 나는 쪽을 향하여 손에 잡히는 물건 등을 잡는다. 따라서 그 소리가 벨이 울리는 소리거나, 개 짖는 소리를 들어서 판단…(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시각장애 발달 단원의 첫번째 `인지발달`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된 자료입니다.
맹아동의 경우 시각 손상이 인지발달이나 定義(정이)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련되어 소리는 눈 또는 얼굴을 그곳으로 향하는 행동이 일반적으로 생후 2개월 정도에서 나타나는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맹유아의 경우 6~7개월에서 그와 같은 행동이 나타난다고 한다.
특히 행동을 수행할 경우, 環境(환경)에는 그에 대처해야만 하는 대상이 존재하는데, 어떤 대상은 가까이에서 탐색하지 않으면 행동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또 다른 대상은 떨어져서 보지 않으면 위험한 경우가 있따 정안아동의 경우 상당히 떨어진 곳에서 그 대상의 존재나 속성 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소에서 가까이하거나 떨어져야 판단을 할 수 있따 시각이 손상된 상태에서의 인지는 촉각이나 청각으로부터의 정보를 단서로 하기 때문에 미리 안전한 거리에서 행동에 필요한 대상을 정확히 인지하기는 어렵다.
설명
1. 인지행동
1) 인지행동의 발휘
(1) 자극과 reaction response
(2) 탐색행동의 발휘
(3) 탐색행동의 소멸
2) 인지행동과 운동발달 관계
(1) 동기유발의 요인
(2) 이동의 문제
2. 자기 인지
1) 자아의식
(1) 자신과 環境(환경)
(2) 맹아동의 자아 형성
2) 신체상
(1) 시각적인 이미지
(2) 맹아동의 신체상
3) 자기수용감각
(1) 자기수용감각의 의미
(2) 맹아동의 자기수용감각 능력
3. 環境(환경) 인지
1) 사물 존재의 인지
(1) 맹아동의 속성
(2) 장애물 지각
2) 촉각운동 인지
(1) 피부상의 정위
(2) 길이의 변별
(3) 무게의 변별
(4) 도형의 지각
3) 양의 존재
(1) 양의 보존 연구
(2) 양의 보존 능력
4. 인지발달의 진단 문제
1) 감각 차이 문제
(1) 감각운동기의 의의
(2) 발달에 대한 영향
2) 맹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는 단서
(1) 행동발달과 동기유발
(2) 학습경험과 발달
인간이 주위 環境(환경) 속에서 적절히 활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알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環境(환경)을 바르게 인지해야 한다. 맹아동의 1. 인지행동, 2. 자기 인지, 3. environment(환경) 인지, 4. 인지발달의 진단 문제 에 대한 목차순으로 정리
시각장애 발달 중 `인지발달` 정리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 다음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조작을 통하여 環境(환경)을 이해해 간다. 시각에 장애가 없는 유아가 소리나는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귀에 들린 정보로부터 상세한 내용을 시각을 통하여 알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의 소리는 음원(소리가 나는 것)을 정위하는 단서에 지나지 않는다. 맹아동이 環境(환경)내의 대상을 인지할 경우에는 자신의 신체가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우선 인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