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학습 운영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3:35
본문
Download : 평가학습 .hwp
그러나 교육과definition 내용이 이와 같은 관점을 견지하더라도 실제로 교과서에 반영되는 모습을 보면 언어의 총체성으로 말미암아 그 위계를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김재봉 2000: 96 참조). 수준의 한계가 불명료하기 때문에 상위차원의 의도된 교육과정이 아니라 교사 차원의 전개된 교육과정이 중요한 것은 지금, 여기의 아동들에게 적합한 수준의 결정은 바로 교사들의 몫이기 때문일것이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평가학습 제7차교육과정 평가기준 / (교육)





6. 맺음말
우리는 이미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2학년까지 시행하고 있고, 내년부터는 4학년까지도 시행에 들어간다.
7차 국어과에서는 7가지의 다양한 교수-학습 형태가 제시되었다.
4. 심화·보충학습의 구성 내용과 유형 및 용어
평가학습 제7차교육과정 평가기준 / (교육)
둘째로, 교육과정 해설에 언급된 내용과 그에 따른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고에서 평가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measure(방안) 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유는 7가지 교수-학습 형태를 가지고 기본 학습과 심화·보충학습은 그런 대로 적용이 용이하지만, 평가학습(되돌아보기 학습)은 형성적 성격뿐만 아니라 심화·보충학습을 위한 진단적 성격이 강하여 평가학습을 독립적인 변인으로 보기보다는 기본학습과 심화·보충학습을 연계하는 매개적인 변인으로 파악해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가학습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어떻게 운영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마인드가 확립되지 않아서 평가학습이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현장 곳곳에서 들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72
평가학습 제7차교육과정 평가기준
1. 머리말
따라서 본고에서는 평가학습을 운영하는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을 제시하여 평가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measure(방안) 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흔히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수준의 concept(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따 첫째로, 가장 넓게는 1학년에서부터 10학년까지 이르는 학년급별 차원에서 언급되는 수준이 있을 수 있따 이 관점에서 볼 때, 예를 들어 1학년의 어느 한 마당의 심화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이 2학년의 기본학습 내용과 겹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의 수준이다. 한편으로는 6차의 직접교수법 중심의 획일화된 교수-학습 형태를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현장 선생님들을 기쁘게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교수-학습 형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여 선생님들을 당황하게 만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더 자세히 말하면, (1)수준별 교육과정과 평가학습의 관계 속에서 수준의 concept(개념)이 무엇이며, (2)평가기준과 평가요소의 혼동 문제를 살피고, (3)심화·보충학습의 유형과 구성에 따라서 평가학습이 운영되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심화·보충학습의 구성 내용과 유형(선택assignment형과 공통assignment형)을 살피며, (4)이를 토대로 기본학습이 대단원 체제와 소단원 체제(2-3-2체제)로 운영될 경우, 후속될 심화·보충학습이 선택assignment형일 때와 공통assignment형일 때 평가학습이 다르게 운영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함이 본고의 목적이다.
Download : 평가학습 .hwp( 40 )
3. 평가 기준과 평가 요소
2. 수준별 교육과정에서의 수준의 concept(개념)
5. 평가학습의 운영 measure(방안)
2. 수준별 교육과정에서의 수준의 concept(개념)
평가학습 운영 대안
설명
다. 학습자의 수준을 중심으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이라는 전제에 휘둘린 나머지, 진정한 의미의 수준이란 무엇이고, 무엇을 만들어 가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와 고민, 그리고 반성이 없이 일단 교육과정에 의해 시행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교육과정을 되돌리자는 비판의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따 그러나 여기서는 이런 문제에 대해 필자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시행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어떻게 하면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을까하는 데에 치중하면서 기본학습→평가학습→심화·보충학습의 과정 중에서 평가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measure(방안) 마련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