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의 착오의 유형과 그 해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4:24
본문
Download : 사실의 착오의 유형과.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사실의착오 착오 범죄사실 범죄 형법 / (사실의 착오)
Download : 사실의 착오의 유형과.hwp( 87 )
설명
순서
사실의 착오의 유형과 그 해결
사실의착오 착오 범죄사실 범죄 형법
_ 여기서 이렇게 양자간에 불일치가 일어나는 경우 즉, 행위자가 생각한 구성요건적 범죄사실과 현실로 발생한
사실의착오 착오 범죄사실 범죄 형법 / (사실의 착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의란 구성요건적 범죄사실(객관적 구성요건요소)을 인식하고 인용하는 심적 태도이다.





다. 그런데 간혹 행위자가 생각한 범죄사실과 현실로 발생된 범죄사실이 불일치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발생된 범죄사실에 대해 과연 고의를 인정할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단순히 판단하면, 양자가 불일치할 경우 고의를 인정하지 않으면 될 것이지만, 조금 더 숙고하면, 엄격히 말하여 양자는 완벽하게 일치할 수 없다는 점이 발견되고(행위자가 고의의 대상이 되는 모든 사실을 완벽하게 알고 있을 수는 없다), 그렇다면 일정 정도의 불일치는 고의의 성립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conclusion(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결국 그러한 정도가 어디까지인지가 문제되는 것이다. 아울러 대부분은 행위자가 인식·인용한 구성요건적 범죄사실과 현실로 발생된 구성요건적 범죄사실은 일치하며, 이 때 발생된 범죄사실에 대해 고의가 인정되는 것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