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변화의 출발- 대안교육의 장점을 공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9:19
본문
Download : 공교육 변화의 출발- 대안교육의 장점을 공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hwp
화랑고등학교에서의 마음대조 일기 기재 및 감정 지도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매일 마음대조 일기 기재 시간을 두어 전교생이 다 함께 하루 동안의 마음 작용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대체로 글쓰기 자체가 어렵고 문장력이 떨어지지만 한 줄이라도 기재하면 귀하게 여겨 학생들의 마음을 살려주려고 노력하였다.
[교육사회]대안교육최종 , 공교육 변화의 출발- 대안교육의 장점을 공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사범교육레포트 ,
I.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목적 및 내용 ........................................................... 1
Ⅱ. 대안교육 ........................................................................................ 1 1. 대안교육의 concept(개념) ............................................................................ 1
2.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성격 ............................................................ 2
3. 대안학교의 유형 ........................................................................... 2
(1) 정규학교형 대안학교(특성(特性)화 고등학교)
(2) 비정규형 대안학교
① 도시형 전일제 학교
② 농촌형 전일제 학교
③ 방과 후 학교와 계절학교
Ⅲ. 대안학교의 학교별 특성(特性) ................................................................ 5
1. 간디학교 ........................................................................................... 5
(1) 교육目標(목표)
(2) 교육철학
(3) 특징
(4) 평가방침
2. 영산 성지고등학교 .......................................................................... 9
(1) 교육目標(목표)
(2) 학교헌장의 주요내용
(3) 특징
Ⅳ. 공교육에서의 실현 가능성 ............................................................... 12
1. 노작교육
2. ‘마음일기’쓰는 교사와 학생
3. 특별활동의 활성화
4. 평가 방법의 change(변화)
5. 학생회의 활성화
6. 1인 1스포츠 익히기
7. 교사의 역할
Ⅵ. 결론 ................................................................................................ 16
◆ 참고도서 .......................................................................................... 16
[첨부1]대안교육 특성(特性)화 중·고등학교 동향 ............................................ 17
[첨부2] 대안학교 관련 교육법 ............................................................ 18
2. ‘마음일기’쓰는 교사와 학생
이 교육내용은 원불교 재단인 원경고등학교, 화랑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와 같은 대안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마음일기’는 학…(생략(省略))
Download : 공교육 변화의 출발- 대안교육의 장점을 공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hwp( 94 )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교육사회]대안교육최종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공교육 변화의 출발- 대안교육의 장점을 공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
다. 오늘 경계는 어떤 것이었나, 그 경계에 따라 어떤 마음이 일어났는가? 또 어떤 공부를 하였는가를 그대로 기재하여 담임선생님의 감정을 받게 하였다. 마음대조일기는 마음 사용법을 세밀히 배울 수 있는 이며 또한 담임과 학생이 깊이 만남을 가능하게 해 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따
먼저 마음일기는 기존에 학생들이 하는 ‘일기’와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단 한줄이라도 그날 그날 자신의 마음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학생들이 하루에 단 1분이라도 침착히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효율가 있으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