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 유일체제확립 /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 정해방직후 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8:17
본문
Download : [북한학] 유일체제확립.hwp
· 1945.10.10-13일간 평양에서 ‘서북 5도당 및 열성자대회’가 비밀리에 개최되어 지도기관을 선출했는데 분국 책임비서에는 국내파인 김용범, 2명의 제 2비서에는 국내파 오기섭과 연안파 무정을 선출했다.
[북한학] 유일체제확립 /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 정해방직후 북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정해방직후 북한지역에는 공산주의 세...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정해방직후 북한지역에는 공산주의 세...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북한학] 유일체제확립-600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B%B6%81%ED%95%9C%ED%95%99%5D%20%EC%9C%A0%EC%9D%BC%EC%B2%B4%EC%A0%9C%ED%99%95%EB%A6%BD-6007_01.gif)
![[북한학] 유일체제확립-600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B%B6%81%ED%95%9C%ED%95%99%5D%20%EC%9C%A0%EC%9D%BC%EC%B2%B4%EC%A0%9C%ED%99%95%EB%A6%BD-6007_02_.gif)
![[북한학] 유일체제확립-600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B%B6%81%ED%95%9C%ED%95%99%5D%20%EC%9C%A0%EC%9D%BC%EC%B2%B4%EC%A0%9C%ED%99%95%EB%A6%BD-6007_03_.gif)
![[북한학] 유일체제확립-600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B%B6%81%ED%95%9C%ED%95%99%5D%20%EC%9C%A0%EC%9D%BC%EC%B2%B4%EC%A0%9C%ED%99%95%EB%A6%BD-6007_04_.gif)
![[북한학] 유일체제확립-600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10/%5B%EB%B6%81%ED%95%9C%ED%95%99%5D%20%EC%9C%A0%EC%9D%BC%EC%B2%B4%EC%A0%9C%ED%99%95%EB%A6%BD-6007_05_.gif)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정해방직후 북한지역에는 공산주의 세력이 ①국내파, ②연안파, ③소련파, ④빨치산파(만주파)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민족진영은 조만식을 정점으로 하는 하나의 세력으로 결집되어 있었다. 당시 김일성이가 책임비서로 선출되지 못한 것은 ① “정치훈련이 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전면에 내세우기에는 시기상조였다. 북로당 결성과 남북노동당 합당 ·1946.8.28-30일 북조선 공산당과 조선신민당(연안에서 활동하던 조선독립동맹계가 1946.2.16일 소련군정과 김일성의 권유로 만든 정당)을 통합한 새로운 정당인 북조선 노 동당(북로당) 창립대회가 평양에서 열렸다. · 여기에서 두 사람의 주장이 서로 달라서 결국 타협한 것이 서울의 중앙당에 속하되 북한 지역에 중간 기구로서 ‘북조선 분국’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가.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 박헌영과 김일성의 歷史(역사)적인 첫 회동이 1945년 1·월 8일 저녁에 개성 인근 소련군 38경비사령부 회의장에서 소련군사령부 민정사령관 로마넨코의 동석 하에 이루어졌다.다.”고 당시 정치 사령관이었던 레베데프는 증언한 바 있다 ② 특히 레닌사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준비도 덜 됐을 뿐만 아니라 빨치산활동 이외 에는 내세울 만한 경력이 없었다고 레베데프는 밝혔다. 당시 김일성은 17명으로 구성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을 뿐이다. 나. 북조선 공산당 · 북조선 분국 제3차 확대집행위원회에서는 특히 김일성이 김용범을 밀어내고 분국의 책임비서로 선출되어 公式(공식)적으로 당권의 전면에 나서게 된다 · 또한 이 회의에서부터 북한은 분국을 ‘북조선공산당’이라고 부르기 처음 했다. · 북로당 창립은...
Download : [북한학] 유일체제확립.hwp( 20 )
북한학 유일체제확립 유일체제 확립1. 조선노동당의 성립과 정해방직후 북
다.